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동로마 제국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바실리오스 2세 시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ap_Byzantine_Empire_1025-en.svg.png]] 그러다가 [[바실리오스 1세]](재위: 867년 ~ 886년)가 창건한 [[마케도니아 왕조]] 시기가 도래한다. 약 200년 간에 걸쳐 전개된 이 시기에는 바실리오스 1세, 현제 [[레온 6세]](재위: 886년 ~ 912년), [[로마노스 1세]] 레카피노스(재위: 920년 ~ 944년), [[콘스탄티노스 7세]](재위: 913년 ~ 959년), [[니키포로스 2세]](재위: 963년 ~ 969년),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재위: 969년 ~ 976년) 등의 위대한 황제들이 배출되었던 시기이며 이들은 제국 내부를 [[구조조정]]하여 [[재정건전성]]으로 세입을 늘리고 그만큼 군사력을 키워 [[바실리오스 2세]] '''불가록토노스'''[* [[불가리아인]]들의 [[학살자]].] 황제 시기 [[불가리아 제국]]을 멸망시킴으로써 다시 한번 제국이 강대국으로 돌아왔음을 알리는 전성기가 되었다. 이 시기의 영토는 395년의 제국 최종분할 당시의 동로마 제국의 약 60 ~ 70% 수준에 달하며[* 부유한 이집트와 레반트 지역 속주들이 날아가긴 했지만 대신 군사적으로 중요하고 지키기도 용이한 일리리아와 남이탈리아, 서부 아르메니아 지방이 제국으로 편입되었다.] (물론 그 이후로 시대가 흘러 기술이 발전한 것을 감안해야겠지만) 인구와 세입금은 75%, 군사력은 110% 수준으로까지 도달했다. 세입에 비해 군사력은 다소 많긴 했는데 그건 동로마 제국은 전통적 문제인 양면전선으로 어마어마한 군사력이 소요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나마 둔전병 특성이 강한 [[테마 제도]]로 군사비를 아껴서 저게 가능했으나 그래도 상당한 부담이긴 했다. 일단 이 수치는 워랜 트레드골드가 추정한 수치인데, 일반적으로는 오히려 워랜이 인구와 세입금을 너무 보수적으로 잡았다고 보기 때문에 대강 거의 동서 최종분할 당시의 동로마 제국 국력을 먼 길 돌아서 회복했다고 보고 있다. 여기서 시간이 흘러 인구가 증가하고 기술이 발전했는데 동서 최종분할 당시의 동로마 제국 국력을 회복까지'밖에' 못했다고 보면 안 된다. 본래 동로마 영토 중에서 부유한 인구밀집 지역이던 이집트와 시리아(레반트) 지역을 상실했음에도 남아있는 핵심 영토 경영의 효율화로 영토가 훨씬 넓던 시기와 맞먹는 국력을 키운게 더 대단한 것이며, 애초에 본디는 동로마 관할이 아니었던 일리리아 일부, 남이탈리아, 아르메니아 등 꽤 넓은 영토가 추가된 것도 감안해야 한다. 그 상태에서도 군사력은 오히려 395년 당시 동로마보다도 강했던 건 상당한 성취가 맞다.[* 시대 얘기를 더하자면, 최전성기 이슬람 제국의 세입금은 최전성기 로마 제국의 거의 약 2배에 달했던 것으로 대강 평가되는데 물론 8세기 이슬람 제국이 2세기 로마 제국보다 못살았다면 그건 정말 인류의 성취와 발전을 너무 무시한 게 되겠으나, 이슬람 제국이라고 그걸 그저 시대적 상황으로 얻기만 한 건 아니었다. 애초에 이슬람 제국이 장악한 영토가 기존 로마 제국과 사산조가 심혈을 기울여 발전시켜놓은 땅들을 접수한 거진 다 꿀땅이었고, 로마 제국이 장악한 갈리아, 에스파니아 등 지역은 그전에 거길 차지했던 민족들이 역량이 부족해 아직 개발이 덜 되었던 것도 고려해봐야 한다.] 그러나 이 전성기는 11세기의 연이은 전쟁과 혼란으로 끝난다. 동쪽으로는 [[셀주크 투르크]]인들이 밀려들어왔고 북쪽에서는 [[쿠만족]], [[페체네그족]] 등의 침략이 이어졌고 서쪽에서는 [[로베르 기스카르| 노르만]]의 공세가 줄을 이었다. 결국 [[만치케르트 전투]]가 결정타가 되어 기존의 테마였던 [[아나톨리아]] 반도 대부분이 [[셀주크 제국]]과 이후 [[룸 셀주크]]의 치하로 넘어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동로마의 기존의 테마 체계가 와해되어 제국의 국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셀주크 제국]]에 지속적으로 안보가 노출되는 상황으로 인해 [[알렉시오스 1세]] 황제가 이를 타개하기 위한 묘수로 [[셀주크 제국]]에 대한 서방의 지원군을 교황에게 요청하였는데, 이는 교황 [[우르바노 2세]]가 [[십자군 전쟁]]을 선포하는 도화선이 되어 마침내 [[십자군 전쟁]]이 시작이 되었다. 이로 인해 제국의 안보 부담은 단기적으로는 한층 덜어지는 듯 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제국에 맞먹거나 어떤 부문에서는 오히려 제국을 능가하게 될 정도로 부쩍 성장한 카톨릭 서구권과의 충돌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동로마 제국의 대표적인 혼란기였던 11세기는 서유럽이 정치적 안정과 농지의 확대 등으로 상당한 체급의 성장을 이룬 세기기도 했다. 바로 이전 세기가 동로마의 전성기이자 서유럽의 상대적 혼란기였던 것과 대비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